2025년 현재, AI는 단순히 자동화 도구가 아니다.
텍스트 생성, 이미지 제작, 예측 분석 등에서 인간의 의사결정을 보조
서비스 사용자는 AI를 보조자(Assistant) → 공동 문제 해결자(Collaborator)로 인식
즉, UX 설계에서 중요한 것은 ‘AI가 무엇을 하고, 인간은 무엇을 결정하는가’를 명확히 구분하면서도 둘 사이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신뢰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 ChatGPT와 코딩, Figma와 AI 디자인 도구, Jira Copilot 등은
단순 명령 수행이 아니라, 인간과 AI가 함께 창의적 결과를 만드는 경험을 제공한다.
1. 자동화 → 증강(Augmentation)
과거: AI는 반복 업무 자동화에 초점이었으나, 현재: 인간의 창의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증강하는 방향으로 전환
예: 의료 진단 보조, 금융 리스크 분석, 콘텐츠 기획 제안
2. 신뢰와 투명성 요구
사용자는 AI가 내린 제안에 대해 “왜?”를 알고 싶어 함 , Explainable AI(XAI)와 신뢰 구축 설계가 필수
3. 인간 중심 설계 필요
AI의 역할과 인간의 역할, 책임 범위를 UX 단계에서 명확히 정의 과도한 AI 권한은 사용자 불신, 과도한 인간 개입은 효율 저하

1. 역할 분담(Role Definition)
AI는 반복, 예측, 제안 중심 , 인간은 판단, 선택, 창의적 결정 중심
예: AI는 보고서 초안 작성 → 사용자는 편집과 최종 승인
2. 실시간 피드백(Real-time Feedback)
AI 제안에 대해 즉시 수용, 수정, 거부 가능 피드백은 AI 모델 개선에도 반영 → 협업 지속성 확보
3. 투명성(Transparency)
AI가 생성한 콘텐츠, 분석, 추천 근거 명확히 표시 , 사용자는 AI의 판단 근거를 이해 → 신뢰와 통제감 확보
4. 예측적 지원(Predictive Assistance)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미리 예측하여 제안 , 단, 최종 선택은 사용자에게 남겨 두어 책임과 권한 균형
5. 학습과 적응(Learning & Adaptation)
AI는 사용자의 스타일, 선호, 패턴을 학습, 사용자도 AI의 기능과 한계를 학습 → 상호 적응형 협업
1. 협업 흐름(Workflow) 설계
사용자와 AI의 상호작용 단계를 시나리오화
제안 → 검토 → 수정 → 승인 → 학습 → 재제안 구조 설계
2. 역할 시각화
UI에서 인간/AI 역할을 명확히 구분
예: AI 제안 영역, 인간 편집 영역, AI 설명 영역
3. 신뢰 기반 인터랙션
사용자가 AI 제안을 신뢰할 수 있도록 정확도, 근거, 한계 정보를 명시
불확실한 경우 ‘AI Confidence Score’ 표시
4. 권한과 통제
사용자가 AI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는 선택권 제공
AI가 자동 실행하는 영역과 사용자 판단 영역 명확히 분리
5. 협업 데이터 활용
사용자의 피드백, 선택 패턴, 수정 내역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
AI 성능 개선 → 협업 경험 고도화

1. GitHub Copilot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AI가 제안
코드를 직접 실행하지 않고, 사용자 판단으로 선택
협업 경험: AI는 초안 작성, 인간은 최종 설계 → 생산성 향상
2. Figma AI
디자인 초안 생성, 색상 제안, 레이아웃 보조
디자이너는 창의적 결정과 디테일 조정
협업 경험: AI는 반복/제안 중심, 인간은 최종 완성도 담당
3.Jasper.ai / ChatGPT for Content
콘텐츠 초안 생성 → 인간 검토 및 편집
반복 피드백을 통해 AI는 스타일 학습
협업 경험: AI와 인간이 서로 학습하며 결과물 개선
1. 협업 시나리오 매핑
서비스 내 AI와 인간의 상호작용 단계를 명확히 정의
주요 사용 시나리오별 역할, 책임, 피드백 루프 설계
2. UI/UX 디자인
AI 제안 영역, 사용자 선택 영역, 설명/근거 영역 구분
시각적 표시, 알림,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AI 존재감 강화
3. 성능 및 신뢰 지표
AI 제안 수용률, 수정율, 사용자 만족도 측정
지속적인 개선과 사용자 신뢰 확보
4. 교육 및 온보딩
사용자에게 AI 기능과 한계를 명확히 안내
효과적인 협업 경험을 위한 초기 학습 제공
AI와 인간 협업 UX 설계는 단순한 기술 통합이 아니라, 역할, 책임, 신뢰, 적응을 모두 설계하는 종합적 전략이다.
성공적인 서비스 기획자는:
- AI를 ‘도구’가 아니라 ‘협업 파트너’로 포지셔닝
- 사용자가 AI를 신뢰하고,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경험 제공
- 반복 학습과 피드백을 통해 AI와 인간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 설계
2025년 이후 서비스 경쟁력의 핵심은
“AI와 인간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경험”으로 정의될 것이다.